맨위로가기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수단 축구 협회가 관할하며,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회원국이다. 1936년 설립된 수단 축구 협회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협회 중 하나이다.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했으며, 1957년, 1959년, 1963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한 번도 진출하지 못했다.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축구 - 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수단에서 개최된 첫 대회로, 이집트, 수단, 에티오피아가 참가하여 이집트가 우승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
  • 수단의 축구 -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수단에서 개최된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수단이 가나를 꺾고 우승했으며, 코트디부아르의 로랑 포쿠가 득점왕, 가나의 이브라힘 선데이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고, 아랍 연합 공화국이 3위를 차지했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CAF에 관한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CAF에 관한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정식 명칭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별칭제디안의 매 (صقور الجديان)
협회수단 축구 협회(SFA)
하위 연맹동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축구 협의회(CECAFA) (동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아프리카)
감독제임스 콰시 아피아
주장라마단 아가브
최다 출장 선수하이탐 무스타파(98회)
최다 득점 선수나스르 에딘 아바스(27골)
홈 경기장하르툼 스타디움
FIFA 코드SDN
FIFA 최고 랭킹74위
FIFA 최고 랭킹 날짜1996년 12월
FIFA 최저 랭킹164위
FIFA 최저 랭킹 날짜2017년 7월
Elo 최고 랭킹31위
Elo 최고 랭킹 날짜1971년 7월
Elo 최저 랭킹155위
Elo 최저 랭킹 날짜2018년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pattern_la1: _sud23h
pattern_b1: _sud23h
pattern_ra1: _sud23h
pattern_sh1: _sud23h
pattern_so1: _sud23h
leftarm1: FF0000
body1: FF0000
rightarm1: FF0000
shorts1: FF0000
socks1: FF0000
원정 유니폼pattern_la2: _sud23a
pattern_b2: _sud23a
pattern_ra2: _sud23a
pattern_sh2: _sud23a
pattern_so2: _sud23a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경기 정보
첫 경기수단 5–1 에티오피아
(옴두르만, 수단; 1956년 5월 13일)
최대 점수차 승리수단 15–0 무스카트 오만
(카이로, 이집트; 1965년 9월 2일)
최대 점수차 패배대한민국 8–0 수단
(서울, 대한민국; 1979년 9월 8일)
월드컵
월드컵 출전(출전 없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10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첫 출전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고 성적우승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출전3회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첫 출전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최고 성적3위 (2011년, 2018년)
FIFA 아랍컵
FIFA 아랍컵 출전4회
FIFA 아랍컵 첫 출전1998년
FIFA 아랍컵 최고 성적조별 리그 (1998년, 2002년, 2012년, 2021년)
CECAFA컵
CECAFA컵 출전22회
CECAFA컵 첫 출전1979년
CECAFA컵 최고 성적우승 (1980년, 2006년, 2007년)

2. 역사

수단 축구 협회는 1936년에 설립되어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협회 중 하나이다. 축구 협회가 설립되기 전, 수단은 20세기 초부터 영국 식민주의자들이 이집트를 통해 들여온 축구를 경험하기 시작했다. 알-힐랄 옴두르만, 알-메리크 SC 등의 클럽들이 수단에서 축구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하르툼 리그는 수단 최초의 전국 리그가 되었으며, 수단 축구의 미래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수단은 1948년에 FIFA에 가입했고, 1957년 수단 수도 하르툼에서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 CAF 설립 후, 수단은 자국에서 개최한 최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참가하여 3위를 차지했다. 이후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수단의 유일한 아프리카 트로피이다.[3]

1970년대 이후 수단은 많은 축구 스타들의 은퇴와 제1차제2차 내전 등의 국내외적 혼란으로 인해 국가대표팀의 기량이 쇠퇴했다. 1972년1976년 대회에 참가했지만, 조별 예선을 통과하지 못했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단 한 번도 진출하지 못했다.

2007년, 수단은 2006년 FIFA 월드컵 참가국인 튀니지를 꺾고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복귀했으나,[1]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년 월드컵 예선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지만,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한 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하며, 1970년 이후 처음으로 주요 아프리카 토너먼트에서 4위 안에 드는 성적을 기록했다.[1]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1970년 이후 처음으로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했으나, 8강에서 잠비아에 패했다.[1]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에티오피아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한 이후, 수단은 다시 침체기를 겪었다.[1]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하며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수단은,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가나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상대로 승리하며 9년 만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AFCON) 본선에 복귀했다.[1]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2]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남수단을 꺾고 좋은 출발을 보였다.[4] 계속되는 내전에도 불구하고,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권을 확보하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경쟁할 수 있는 저력을 보여주었다.[4]

다음은 1979년부터 2015년까지 수단이 참가한 CECAFA컵의 기록이다.

개최 연도결과경기득점실점
1979조별 리그 탈락201115
1980우승430152
1981조별 리그 탈락302124
1982조별 리그 탈락200203
1983조별 리그 탈락421143
1990준우승421153
19914위401339
19963위412166
19998강302114
2002조별 리그 탈락411245
20034위421182
20043위5311116
2005조별 리그 탈락4202712
2006우승623174
2007우승523086
2008조별 리그 탈락412132
2010조별 리그 탈락301205
20113위633063
2012조별 리그 탈락310213
2013준우승640284
20154위621374


  • 1973년~1978년, 1984년~1989년, 1992년~1995년, 2000년, 2001년, 2009년 대회는 불참.

2. 1. 초창기와 아프리카의 강호 (1946년 ~ 1970년)

수단 축구 협회는 1936년에 설립되어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협회 중 하나가 되었다. 축구 협회가 설립되기 전, 수단은 20세기 초부터 영국 식민주의자들이 이집트를 통해 들여온 축구를 경험하기 시작했다. 당시 설립된 알-힐랄 옴두르만, 알-메리크 SC 등의 클럽들은 수단에서 축구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하르툼 리그는 수단 최초의 전국 리그가 되었으며, 수단 축구의 미래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수단은 1948년에 FIFA에 빠르게 가입했고, 1957년 수단 수도 하르툼에서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 CAF가 설립된 후, 수단은 자국에서 개최한 최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참가하여 3위를 차지했다.

이 시기 수단의 주장이었던 무스타파 아즈하리, 수단 축구 대표팀의 득점왕이 된 나스르 엘딘 아바스, 수단의 공격을 이끌었던 시디크 만줄, 그리고 뛰어난 능력을 가진 알리 가가린 등 최고의 선수들이 배출되었다. 수단은 이후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수단의 유일한 아프리카 트로피이다.[3]

2. 2. 침체기 (1970년 ~ 2008년)

수단은 많은 축구 스타들의 은퇴로 국가대표팀의 기량이 쇠퇴했다. 1972년1976년 대회에 참가했지만, 조별 예선을 통과하지 못했다. 당시 수단은 제1차제2차 내전으로 인해 국내 축구가 지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수단은 일련의 정치적 격변으로 인해 축구 자원이 고갈되었다. 그 결과 수단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진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FIFA 월드컵 본선에는 단 한 번도 진출하지 못했다. 아프리카의 다른 주요 아랍 국가 중 이 기록을 달성하지 못한 국가는 리비아뿐이다. 수단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종종 참가했지만, 대부분 예선에서 최하위권이나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는 수단 클럽들이 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등 클럽 대회의 성공과는 완전히 대조적이었다.[1]

개최 연도결과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
1979조별 리그 탈락201115
1980우승430152
1981조별 리그 탈락302124
1982조별 리그 탈락200203
1983조별 리그 탈락421143
1990준우승421153
19914위401339
19963위412166
19998강302114
2002조별 리그 탈락411245
20034위421182
20043위5311116
2005조별 리그 탈락4202712
2006우승623174
2007우승523086
2008조별 리그 탈락412132
2010조별 리그 탈락301205
20113위633063
2012조별 리그 탈락310213
2013준우승640284
20154위621374


  • 1973년~1978년, 1984년~1989년, 1992년~1995년, 2000년, 2001년, 2009년 대회는 불참.

2. 3. 부활의 조짐 (2008년 ~ 2012년)

2007년 9월 9일, 수단은 2006년 FIFA 월드컵 참가국인 튀니지를 홈에서 3-2로 꺾고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4조 1위를 차지하며 32년 만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복귀했다.[1]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수단은 이집트, 카메룬, 잠비아와 함께 C조에 편성되었으나, 세 경기 모두 패하며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쳤다.[1]

수단은 2010년 월드컵 예선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지만, 승점 1점만을 얻으며 최하위를 기록,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1]

개최국 자격으로 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에 자동 진출한 수단은[1] 알제리, 우간다, 가봉과 같은 조에서 1위를 차지하여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 8강에서 니제르를 승부차기 끝에 꺾었다.[1] 준결승에서 앙골라에 승부차기로 패했지만, 3·4위전에서 알제리를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 이는 1970년 이후 주요 아프리카 토너먼트에서 처음으로 4위 안에 든 성적이었다.[1]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수단은 스와질란드, 콩고와 함께 가나와 같은 조에 속했다.[1] 단 한 경기만 패하고 본선에 진출한 수단은[1]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B조에서 코트디부아르에 이어 2위를 차지, 앙골라를 골득실차로 제치고 1970년 이후 처음으로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했다.[1] 8강에서 잠비아에 0-3으로 패했다.[1] 잠비아는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

2. 4. 다시 침체기 (2012년 ~ 2018년)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수단은 홈에서 5-3으로 승리했지만, 아디스아바바에서 0-2로 패하며 이웃 에티오피아에 원정 다득점으로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1] 이후 7년 동안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통과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2011년 3위를 기록한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예선도 2018년까지 통과하지 못했다.[1]

2. 5. 재도약 (2018년 ~ 현재)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하며 수단 축구의 새로운 시대를 알렸다. 그 직후, 거의 같은 선수단으로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성공적으로 진출하여 가나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상대로 홈에서 승리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탈락시키면서 9년 만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AFCON) 본선에 복귀했다.[1] 위베르 벨루드 감독의 지휘 하에 2021년 FIFA 아랍컵 예선에서 리비아를 1-0으로 꺾으면서 수단이 곧 아랍 및 아프리카 축구 국가들 사이에서 영광스러운 자리를 되찾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1]

그러나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모로코, 기니비사우, 기니와 같은 조에 속한 수단은 기니비사우와의 홈 경기에서 2-4로 패하며 최하위로 떨어졌고, 월드컵 첫 진출의 꿈을 접어야 했다.[2]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이후, "제디안의 매"로도 알려진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3]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수단은 2024년 6월에 B조 경기에서 남수단을 3-0으로 이기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야시르 모자밀 모하메드와 모하메드 압델 라만과 같은 선수들이 활약하며 승리에 기여했다. 이 결과로 수단은 예선 초반에 조 선두를 차지했고, 세네갈과 같은 강팀과의 경기를 앞두고 있다.[4] 계속되는 내전으로 인해 해외에서 경기를 치러야 하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수단은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권을 확보했다. 2024년 10월과 11월의 좋은 성적을 통해 앙골라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앙골라와의 무승부는 예선 통과를 확정짓는 중요한 결과였다. 이러한 성공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경쟁할 수 있는 수단의 저력을 보여주었다.[4]

3. 국제 대회 경력

## 국제 대회 경력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은 없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197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59년과 1963년 대회에서 준우승, 1957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 FIFA 월드컵

수단은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이 없다. 200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4승 4패로 B조 3위를 차지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1]

연도결과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 ~ 1938년독립 이전
1950년 ~ 1954년불참
1958년2110214
1962년 ~ 1966년기권
1970년8242151610
1974년2101123
1978년기권
1982년2011131
1986년4031153
1990년2011121
1994년기권
1998년2101233
2002년10505101215
2006년1224692210
2010년12318111810
2014년60243142
2018년2002030
2022년81438137
합계641517325610162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수단은 197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59년 대회196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1957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2012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3]

개최국 / 연도성적경기득점실점
19573위100112
1959준우승210122
1962예선 탈락
1963준우승311165
1965 ~ 1968예선 탈락
1970우승540183
1972조별 리그302146
1974예선 탈락
1976조별 리그302134
1978기권
1980예선 탈락
1982불참
1984예선 탈락
1986기권
1988 ~ 1996예선 탈락
1998기권
2000불참
2002 ~ 2006예선 탈락
2008조별 리그300309
2010예선 탈락
20128강411247
2013 ~ 2019예선 탈락
2021조별 리그301214
합계출전 9회 / 우승 1회2777132942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수단은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 3번 출전하여 2011년 대회2018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1]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2009예선 탈락
20113위3위641152
2014 ~ 2016예선 탈락
20183위3위641153
2020예선 탈락
2022조별 리그12위310246
합계3위 3회3/6159241411



### FIFA 아랍컵

FIFA 아랍컵에는 4번 출전하여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2년 대회에서 1승 2무로 5위를 기록했다.[1]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98조별 리그7위210124
2002조별 리그7위411245
2012조별 리그5위312042
2021조별 리그16위3003010
합계조별 리그 4회4/10123361021



### 기타 국제 대회 경력

CECAFA컵에서는 3번(1980년, 2006년, 2007년) 우승했다.[3] 1965년 아랍 게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CECAFA컵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79조별 리그6위201115
1980우승1위430152
1981 ~ 1983조별 리그
1990준우승2위421153
19914위4위401339
19963위3위412166
19998강8위302114
2002조별 리그6위411245
20034위4위421182
20043위3위5311116
2005조별 리그6위4202712
2006우승1위623174
2007우승1위523086
2008 ~ 2012조별 리그
2013준우승2위640284
20154위4위621374
2019조별 리그7위302123
합계3회 우승22/39712520267875



아랍 게임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65은메달2위6501325
2007조별 리그5위4004012
2011조별 리그5위311112
2023동메달3위521286
합계은메달 1회4/12188284125


3. 1. FIFA 월드컵

수단은 현재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 200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4승 4패를 기록하며 B조 3위를 차지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1]

FIFA 월드컵 기록rowspan=37 |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경기 수득점실점
1930 ~ 1938United Kingdom|영국영어의 일부United Kingdom|영국영어의 일부
19501954불참불참
1958예선 기권211021
1962기권기권
1966
1970예선 탈락82421516
1974210112
1978기권기권
1982예선 탈락201113
1986403115
1990201112
1994기권기권
1998예선 탈락210123
2002105051012
200612246922
2010123181118
20146024314
2018200203
20228143813
2026미정431071
2030미정
2034
합계7619223571115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29

|-

!합계||1회 우승||9/34||27||7||7||13||29||42

!127

!50

!17

!60

!140

!164

|}

수단은 자국에서 열린 197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59년 대회196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3]1957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2012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총 9번 본선에 진출했다.

3. 3.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자국 리그 선수들만 참가하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자국에서 열린 2011년 대회모로코에서 열린 2018년 대회에서 모두 3위를 차지하며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이후 40여년만에 CAF 주관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록rowspan="40" |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경기 수득점실점
19573위3위100112개최국 자격으로 진출
1959준우승2위210122예선 없음
1962불참불참
1963준우승2위311165220060
1965예선 탈락6411147
1968310245
1970우승1위540183개최국 자격으로 진출
1972조별 리그7위302146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진출
1974예선 탈락201123
1976조별 리그7위302134430174
1978기권기권
1980예선 탈락210124
1982불참불참
1984예선 탈락421146
1986기권기권
1988예선 탈락421133
1990210111
1992420233
1994612329
1996103251014
1998기권기권
2000불참불참
2002예선 탈락8215910
2004631296
200612246922
2008조별 리그16위3003096501134
2010예선 탈락10217715
20128강8위411247641183
2013예선 탈락210155
20156105311
2017411223
20196105513
2021조별 리그20위301214640293
2023예선 탈락6204310
2025진출 확정622246
2027미정미정
{{flagicon|}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기록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2009예선 탈락411276
20113위3위641152개최국 자격으로 진출
2014예선 탈락202022
2016200204
20183위3위641153422031
2020예선 탈락210122
2022조별 리그12위310246220073
합계3위3/6159241411166552118


3. 4. FIFA 아랍컵

FIFA 아랍컵에는 2021년 대회를 포함해 모두 4번 참가하여 4번의 대회에서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그나마 2012년 대회에서 1승 2무로 5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남겼다.[1]

FIFA 아랍컵 기록
출전: 4회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98조별 리그7위210124
2002조별 리그7위411245
2012조별 리그5위312042
2021조별 리그16위3003010
합계조별 리그4/10123361021


3. 5. 기타 국제 대회 경력

بطولة الألعاب العربيةar에는 3번 출전하여 1965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CECAFA컵에서는 3번(1980년, 2006년, 2007년) 우승했다.[3]

CECAFA컵 기록
출전: 22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79조별 리그6위201115
1980우승1위430152
1981조별 리그7위302124
19826위200203
19835위421143
1990준우승2위421153
19914위4위401339
19963위3위412166
19998강8위302114
2002조별 리그6위411245
20034위4위421182
20043위3위5311116
2005조별 리그6위4202712
2006우승1위623174
2007우승1위523086
2008조별 리그6위412132
2010조별 리그10위301205
20113위3위633063
2012조별 리그9위310213
2013준우승2위640284
20154위4위621374
2019조별 리그7위302123
합계3회 우승22/39893129348964



아랍 게임 기록
출전 횟수: 4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65은메달2위6501325
2007조별 리그5위4004012
2011조별 리그5위311112
2023동메달3위521286
합계은메달 1회4/12188284125


4. 선수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2024년 11월 18일 앙골라와의 경기를 기준으로 한다.[4]

과거 주요 선수로는 아크람 엘 하디, 아미르 카말, 라마단 아가브, 모아즈 압델라힘 등이 있다.

4. 1. 주요 선수

다음은 2024년 11월 14일과 18일에 니제르앙골라와의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F조 경기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4]

''출전 횟수와 골은 2024년 11월 18일, 앙골라와의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 횟수득점현재 소속팀
GK알리 아부 에슈레인علي أبو عشرين|알리 아부 에슈레인ar1989년 12월 6일370알힐랄 SC
GK모하메드 무스타파محمد المصطفى|모하메드 무스타파ar1996년 2월 19일290아잠 FC
GK무하메드 압달라 케디아바محمد عبدالله كيديابا|무하메드 압달라 케디아바ar1990년 6월 23일20알힐랄 SC
GK아흐메드 피터 알-파티أحمد بيتر الفاتح|아흐메드 피터 알-파티ar1993년 8월 18일10알메리크 SC
DF라마단 아갑رمضان عجب|라마단 아갑ar1986년 2월 20일768알메리크 SC
DF아미르 카말أمير كمال|아미르 카말ar1992년 7월 10일712알메리크 SC
DF바키트 카미스بخيت خميس|바키트 카미스ar1992년 1월 16일270알 아흘리 SC (트리폴리)
DF모하메드 에링محمد إرينق|모하메드 에링ar1997년 10월 20일250알힐랄 SC
DF아와드 자예드عوض زايد|아와드 자예드ar1993년 1월 1일160알메리크 SC
DF아흐메드 타반자أحمد تَبَنْجَة|아흐메드 타반자ar2000년 9월 2일130알메리크 SC
DF압델라흐만 쿠쿠عبد الرحمن كوكو|압델라흐만 쿠쿠ar1997년 10월 26일100알이티하드 클럽 (트리폴리)
DF엘타예브 압델라제그الطيب عبد الرازق|엘타예브 압델라제그ar1991년 9월 6일31알힐랄 SC
DF무사브 마킨مصعب مَكِّين|무사브 마킨ar1996년 5월 28일20알메리크 SC
DF마르완 타하مروان طه|마르완 타하ar2006년 1월 10일20하야 알 와디 SC (니아라)
DF알부라이 자말البراء جمال|알부라이 자말ar2005년 1월 18일00하야 알 와디 SC (니아라)
MF아부아글라 압달라أبو عاقلة عبد الله|아부아글라 압달라ar1993년 3월 11일703알힐랄
MF왈리에딘 케드르ولي الدين خضر|왈리에딘 케드르ar1995년 9월 15일432알힐랄 SC
MF무하메드 알라시드محمد الرشيد|무하메드 알라시드ar1994년 1월 1일341알메리크 SC
MF압델 라우프عبد الرؤوف|압델 라우프ar1993년 7월 18일282알힐랄 SC
MF살라 아델صلاح عادل|살라 아델ar1995년 4월 3일261알힐랄 SC
MF아흐메드 알-타쉬أحمد التش|아흐메드 알-타쉬ar1993년 3월 7일243아스웨일리 SC
MF샤라프 엘딘 시부브شرف الدين شيبوب|샤라프 엘딘 시부브ar1994년 6월 7일182알힐랄 SC (벤가지)
MF아마르 타이푸르عمار طيفور|아마르 타이푸르ar1997년 4월 12일110알 아흘리 SC (트리폴리)
MF술리만 에잘라سليمان عز الله|술리만 에잘라ar2005년 2월 10일50알나스르 SC (벤가지)
MF와지디 한다사وجدي حنداسة|와지디 한다사ar1996년 2월 3일20알메리크 SC
MF압달라 오스만عبدالله عثمان|압달라 오스만ar2006년 7월 23일20하야 알 와디 SC (니아라)
FW무하메드 압델라흐만محمد عبد الرحمن|모하메드 압델라흐만ar1993년 7월 10일5322알힐랄 SC
FW야세르 무즈멜ياسر مزمل|야세르 무즈멜ar1993년 4월 15일476알힐랄 SC
FW세이프 테이리سيف تيري|세이프 테이리ar1994년 1월 1일3910파르코 FC
FW알-제졸리 노우الجزولي نوح|알-제졸리 노우ar2002년 10월 24일301알 아흘리 SC (트리폴리)
FW알사마니 알사위السماني الصاوي|알사마니 알사위ar1991년 10월 31일133알메리크 SC
FW아보 에이사أبو عيسى|아보 에이사ar1996년 1월 5일91농부아 피차야 FC
FW모하메드 에이사محمد عيسى|모하메드 에이사ar1994년 7월 12일91나사지 FC
FW알리 압달라 헤메델닐علي عبدالله حامد النيل|알리 압달라 헤메델닐ar2003년 3월 17일72하야 알 와디 SC (니아라)
FW모지타바 파이살مجتبى فيصل|모지타바 파이살ar1995년 8월 15일50알메리크 SC
FW무사 칸티موسى كانتي|무사 칸티ar2002년 10월 27일20알메리크 SC
FW에이드 무가담عيد مقدم|에이드 무가담ar1999년 9월 17일10알나스르 SC (벤가지)



과거 주요 선수로는 다음 선수들이 있다.


  • 아크람 엘 하디
  • 아미르 카말
  • 라마단 아가브
  • 모아즈 압델라힘

참조

[1]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Sudan http://www.elorating[...] 2017-02-22
[2] 웹사이트 African Nations Cup 1970 - Final Tournament Details https://www.rsssf.or[...] 2024-10-12
[3] 웹사이트 World Football: The State of Football in Sudan https://bleacherrepo[...] 2020-11-15
[4] 웹사이트 Final Squad https://www.facebook[...] Sudan Football Association 2023-11-20
[5] 웹사이트 Sudan https://www.national[...] 2023-09-15
[6]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7]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8] 문서 본선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